■ 진행 : 강진원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영익 /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차기 정부 출범과 함께여러 경제 과제들도 기다리고 있습니다. 변수도 한껏 많아진 현재의 대내외 경제 환경,새 정부는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까요?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교수님, 지금 대내외적으로 우리 경제가 위기에 봉착했다, 이런 분석을 내놓으신 분들이 많던데 차기 정부의 가장 큰 과제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김영익] <br />기업조사에서 나왔습니다. 한마디로 성장잠재력의 회복이다. 이게 굉장히 중요한 문제죠. 그러니까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집권기간 보면 대통령 바뀔 때마다 성장률이 계단식으로 떨어졌습니다. 물론 경제규모가 커지면 성장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 <br />예를 들어서 박정희 전 대통령 때 그때 우리나라 연평균 경제성장률에 10.3%였어요. 쭉 낮아지다가 이번 정부에 한 2.3%로 떨어졌습니다. 이 성장잠재력을 키워서 복지를 하겠다, 이게 차기 정부가 내세운 목표고요. 그게 과제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교수님, 그런데 이 성장잠재력이라는 말이 어떻게 보면 일반 시청자분들이 봤을 때는 막연한 개념이잖아요. 성장을 한다는 게 결국 생산 부문, 소비 부문, 기술력 그리고 인구 모든 게 다 종합적으로 합쳐져야 성장을 할 수 있는 건데 특히 어떤 부분에 주안점을 둬야 되겠습니까? <br /> <br />[김영익] <br />우리가 잠재성장률이라고 하면 우리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이거든요. 이건 말씀하신 것처럼 노동이 증가하고 자본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증가해야 돼요. 그런데 노동은 이미 주어진 거거든요. 흔히 우리 15~64세를 일할 수 있는 인구라고 하는데 이게 줄어들고 있어요. <br /> <br />그러려면 자본을 늘려야 되고 투자를 늘려야 되고 생산성을 개선해야 됩니다. 그래서 이번 정부가 규제를 완화해서 기업 투자를 늘리겠다, 다음 정부가. 그렇게 추구하고 있는 것 같고요. 그다음에 가장 중요한 건 생산성을 늘리는 거예요. 아마 생산성을 늘리려면 사회적 대타협, 노사 대타협 이런 것들이 필요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역대 대통령 집권기간 계속 성장률이 떨어졌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마는 이게 한번 올라가는 걸 저희가 봤으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1111454883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